유방,갑상선 바로알기/갑상선클리닉

목 옆에 멍울 이럴때 검사 필요해요!!

유미안외과 2019. 9. 2. 14:14


목에서 만져지는 멍울, 단순 부어오른 증상이라면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좋지만 통증이 있거나 멍울의 크기가 눈에 보일 정도로
커진 상태라면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보시는 것이 현명합니다.



목 옆에 멍울이 생기는 경우는 갑상선 염증에 의해서 혹은 양성
결절에 의한 증상과 드물게 갑상선 암으로 진단되는 세가지 경우로
보실 수 있습니다. 갑상선암에 의한 증상이라면 추가적인 조직



검사를 통해 정확히 진단받고 제거 수술을 진행하도록 해야합니다.
반대로 양성 결절에 의한 경우라면 통증이 없을 경우 바로 제거하기
보다는 추적관찰을 통해 경과를 지켜보시는 것이 좋은데요, 악성



결절보다는 뚜렷하고 규칙적인 동글한 모양을 띄고 있으며 초음파
혹은 엑스레이 검사 상으로 발견이 용이하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마지막으로 갑상선 염증에 의한 증상은 감염의



경로 혹은 자가면역에 의해서 발생되는 경우가 많으며, 갑상선이
일시적으로 부어올라 압박감, 통증 등을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염증이 가라앉으면서 자연스럽게 목 옆에 멍울이 사라지는 경우를



볼 수 있으니 전문의의 진찰에 따라 원인에 맞는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갑자기 목 옆에 멍울이 만져진다면 당황하고 불안
하기도 하실텐데, 걱정 마시고 갑상선 외과로 내원해 전문의 상담과



검사를 통해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시기를 바라겟습니다. 갑자기
생긴 멍울이나 통증은 암 질환보다는 양성 결절, 염증에 의한 환자
사례가 월등히 많으니 불안해 마시고 병원으로 내원해 확인하세요!



반응형